나가르주나 중론/중론: 용수의 사상, 저술, 생애의 모든것 5

[중론: 용수의 사상, 저술, 생애의 모든 것] 제1장 용수의 사상 - 나. 용수의 실재론 비판 - 3) 설일체유부 이외의 실재론

설일체유부가 실재하는 실체로 간주하는 다르마와 그것들 사이에 보이는 인과관계 다르마는 존재의 요소, 존재의 성질, 기능을 실체화한 것 (예를 들어, 네가지 원소의 경우 지는 견고함, 수는 습윤성, 화는 열성, 풍은 유동성을 말함) # 비판 * 다르마에 각각 고유한 성질, 기능이 있다면, 다르마와 다르마 사이의 인관관계 성립하지 않고, 원래의 존재성이 성립할 수 없게 되어 변화를 설명할 수 없게 됨 * 다르마에 그와 같은 고유한 성질, 기능 등이 없는 것이 ‘무자성, 공’이고 * 그와 같이 주장하는 입장을 ‘법무아론’이라고 한다. 1. 정양부의 부실법 2. 독자부의 ‘뿌드갈라’ *불교는 ‘비아’의 입장에 있었고, ‘나, 아뜨만‘라고 할 수 없는 대상에 ’나‘라고 집착하는 것을 강하게 부정, 한역에서는 비아..

[중론: 용수의 사상, 저술, 생애의 모든 것] 제1장 용수의 사상 - 나. 용수의 실재론 비판 - 2) 설일체유부의 실재론

바아쉐시까 학파에서 나타나는 실재에 대한 파악ㄹ 방식이나 범주에 의해 존재를 구분하고 분석하여 세계를 묘사하는 기체()적인 사유 방법은 설일체유부와도 공통되는 부분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큰 차이점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안된다. 바이쉐시까 학파에서는 ‘뛰어다니는 하얀 개’의 경우 뛰어다니는 운동과 하얗다는 속성과 개다움(견성)이라고 하는 보편이 개라고 하는 기체(실체)에 내속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에 비해 설일체유부는 실재하고 인정하는 다양한 법()이 속하는 기체(), 말하자면 개와 같은 실체가 실재한다고는 인정하지 않는다. 이 실체는 모든 법 위에 개념적으로 구상된 관념적인 존재에 지나지 않는다. 바이쉐시까 학파가 실재하고 인정하는 실체. 속성, 운동, 보편, 특수 대부분은 설일체유부의 ‘법체계..

[중론: 용수의 사상, 저술, 생애의 모든 것] 제1장 용수의 사상 - 나. 용수의 실재론 비판 - 1) 인도의 실재론

요약: 인도의 바이쉐시까 학파의 세계를 나누는 6범주 실체: 지, 수, 화, 풍/ 허공, 시간, 공간, 아, 의 9가지 속성: 하얀 등 형용사 운동: 뛴다 등 동사 보편: 개의 보편성(비숑, 말티즈, 리트리버, 불독…) 특수: 개의 특수성( 고양이, 말, 소…) 내속: 실체, 속성, 운동, 보편, 특수가 결합한 상태여기서는 용수가 설일체유부의 이론을 비롯하여 실재론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비판하고 있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원래부터 ‘실재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어떤 것이 실재하는가에 대해 먼저 확인해 두기로 한다. 다만 기원후 2~3세기경 용수가 비판의 대상으로 삼은 인도의 실재론에 대한 상세한 내용들은 그렇게 명확하지 않다. 그러므로 실재론과 용수의 ‘공사상’에 어떤 대립점이 있는지를 명확하게 하기 ..

[중론: 용수의 사상, 저술, 생애의 모든 것]제1장 용수의 사상-가 .[근본중송]의 구성

[근본중송] 해설 편에서는 먼저 용수의 사상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근본중송] 전체 27장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제1부 A 법무아, 인무아의 총론 제1장: 4연의 이론을 논파해서 불생()의 연기()를 설함. 법무아(법무아) 제2장: 운동이 공간적으로도 시간적으로도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을 논증한다. 인무아(인무아) B 법무아(법무아), 인무아()의 각론 제3~8장: 존재의 구성요소(법)에 관한 이론을 부정하고 법무아()를 설명함 제9~12장: 인격주체(뿌드갈라)를 부정하고 인무아()를 설명함. 제13~17장: 모든 법의 고유한 성질(자성)을 부정하고 모든 것이 공()이라는 것을 입증함 제2부 C 공성()과 진실, 윤회의 관계 제18장: 공성으로 진실을 분명하게 한다. 제19~23장: 공성으..